728x90 반응형 IT515 [SQL] -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정규화, 이상 현상(Anomaly)이란 ?(1NF-1차 정규화, 2NF-2차 정규화, 3NF-3차 정규화) #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정규화, 이상 현상(Anomaly)이란 ? (1NF-1차 정규화, 2NF-2차 정규화, 3NF-3차 정규화) #정규화 -중복의 제거가 목적입니다. 중복되는 데이터가 많으면 이상현상이 발생합니다. -저장하는 공간이 낭비됩니다. #릴레이션 -논리(추상)적 개념입니다. #테이블 -물리(구체)적 개념입니다. #릴레이션&테이블 1. 모든 테이블은 릴레이션은 아닙니다. 2. 모든 릴레이션은 모든 테이블입니다. -테이블이 조금 더 큰 개념이고, 릴레이션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기 위한 조건입니다. #1NF-1차 정규화 #열은 원자적 값만 포함합니다.★ -원자적 : 더 이상 나누어질 수 없는 단위입니다. #같은 데이터가 여러 열에 반복되지 말아야 합니다.★ -동일한 정보를 나타낼 때 필드를 무작성.. 2020. 7. 30. [SQL] -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무결성이란 ? #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무결성이란 ? #데이터 무결성(data Integrity) #무결성 -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고 보증하는 것을 가리키며 데이터베이스나 RDBMS 시스템의 중요한 기능입니다. 1. 개체 무결성 -개체(Entity) : 사람, 장소, 사물, 사건 등과 같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면서 고유하게 식별이 가능한 단위입니다. -아무리 많은 개체가 있어도 내가 원하는 유일한 개체를 발견할 수 있어야 합니다. -기본키(PK)가 있어야 합니다. 2. 도메인 무결성 -필드에는 하나의 필드만이 가질 수 있는 성질이 있는데 그것을 만족해야 합니다. 그렇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합니다. 3. 참조 무결성 -외래키(FK)의 조건이 맞지 않다. (참조할 수 없는 외래키를 가질 수 없습니다.) -외래키 값은 N.. 2020. 7. 30. [SQL] - 데이터베이스 키(Key)의 개념 및 종류 #데이터베이스 키(Key)의 개념 및 종류 #복수 데이터가 가져야 하는 성질 -식별자(키)입니다. #키의 특성 유일성(식별성) : 하나의 키로 하나의 행(튜플)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. 최소성 : 키를 구성하는 속성 하나를 제거하면 유일하게 식별할 수 없도록 최소한의 속성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. #키의 종류 #후보키 -식별성을 만족합니다. -최소성을 만족합니다. #기본키(Primary key) -후보키 중에서 선정된 키입니다. -외부로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값입니다. -NULL 값을 가질 수 없습니다. #유니크키(Unique Key) -중복되는 게 없는 유일한 것입니다. -기본키랑은 다른 개념입니다. -Null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. #대체키(Alternate key) -기본키가 아닌 후보.. 2020. 7. 30. [SQL] - 데이터베이스의 정의와 특징 ※데이터베이스의 정의와 특징 #데이터베이스의 정의 -영속적인 저장소 -질의(query)를 이용해서 사용합니다. -대용량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구성해놓은 것입니다. -여러 명의 사용자나 응용프로그램들이 동시에 접근해서 공유하는 데이터들입니다. -데이터의 저장공간입니다. #DBMS(DataBase Management System) -데이터베이스를 관리, 운영하는 역할입니다. -사용자나 응용프로그램은 DBMS가 관리하는 데이터에 동시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공유합니다. ※DB/DBMS의 특징 #데이터의 무결성 -데이터베이스 안의 데이터는 오류가 없어야 합니다. (데이터의 신뢰성) -제약 조건(constraint)이라는 특성을 가집니다. -PK(Primary Key) : 유니크 키 : 데이터 중복을 막습니다. (테이.. 2020. 7. 30. [JSP] - 29. 서블릿(Servlet) 이란 #서블릿(Servlet) 이란 #서블릿이란? - 서버 쪽에서 실행되면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동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바 클래스 #서블릿의 특징 -서버 쪽에서 실행되면서 기능을 수행한다. -기존의 정적인 웹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동적인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한다. -스레드 방식으로 실행된다. -자바로 만들어져 자바의 특징(객체 지향)을 가진다. -컨테이너(WAS=톰캣)에서 실행된다. -컨테이너 종류에 상관없이 실행된다.(플랫폼 독립적) -보안 기능을 적용하기 쉽다. -웹 브라우저에서 요청 시 기능을 수행한다. #서블릿 API 계층 구조와 기능 >GenericServlet 추상클래스는 Servlet과 ServletConfig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. >HttpServlet는 GenericSer.. 2020. 7. 28. [JSP] - 28. Session(세션) 사용 방법(쿠키vs세션 차이점) #Session(세션) 사용 방법(쿠키vs세션 차이점) #세션 -서버에서 사용자의 정보(상태)를 저장한다. -쿠키와 같이 서버와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다. -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발생하면 자동 생성된다. -쿠키와 달리 클라이언트의 특정 위치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, 서버 상에 객체로 존재한다. -쿠키와 달리 서버에서만 접근이 가능하여 보안이 좋다. -Session의 영역상 브라우저의 X 버튼을 누를 때까지 유지된다. -e.g.) 로그인 정보나 사용자 환경설정, DB커넥션 등 정보를 유지하는 것들에 사용된다. #페이지 내에서 세션의 기본 값 #세션 관련 메서드 메서드 설명 setAttribute(String attrName, Object attrValue) 세션에 데이터를 저장한다. getAttrib.. 2020. 7. 28. 이전 1 ··· 77 78 79 80 81 82 83 ··· 86 다음 728x90 반응형